[김정현] 고향사진관 제 목 : 고향사진관 글쓴이 : 김정현 읽은날 : 2월 18 ~ 2월 20일 읽게된 동기 : 교보문고 서평단 응모 채택 언제부터인지 사진관은 ‘스튜디오나 포토’라는 서구적인 단어로 바뀌어 이젠 책이나 사전에서 찾아볼 수 있는 말로 치부된 지 오래 [고향사진관]이라는 제목이 참 구수하게 느껴진다. 이 책의 .. 글 마당/책마을 산책 2009.02.23
[나탈리 제먼 데이비스]마르탱 게르의 귀향 제 목 : 마르탱 게르의 귀향 읽은날 : 2009. 2. 11 - 16 지은이 : 나탈리 제먼 데이비스 (양희영 옮김) 출판사 : 지식의 풍경 주인공 마르탱 게르와 그의 아내 베르트랑드는 열네 살 가량의 어린 나이에 양가집안 식구들의 합의하에 결혼을 하지만 마르탱 게르는 성불구자로 부부는 성관계를 갖지 못한다. 마.. 글 마당/책마을 산책 2009.02.16
작가가 뽑은 작가의 책 ⑥ 김중혁 → 심보선 『슬픔이 없는 십오 초』 요즘에도 사람들이 시를 읽나? 모르겠다. 나는 한동안 시를 잊고 살았다. 근처에도 가지 않았다. ‘요즘에도 사람들이 시를 쓰나?’라는 생각도 하지 않을 만큼 무관심했다. 살다 보면 그렇다더라. 생각해 보면 노래도 잘 듣지 않았다. 예전에는 시디의 플라스틱 케이스 뒷면에다 네임펜으로 별을 매.. 글 마당/책마을 산책 2009.02.16
작가가 뽑은 작가의 책 ⑤ 이문환 → 김중혁 『악기들의 도서관』 김중혁은 딱 두 번 만났다. 처음 만난 것은 2000년 겨울이었다. 한 출판사의 송년회에서 우연찮게 그의 옆자리에 앉았다. 그는 데뷔작을 갓 발표한 신예 작가. 나는 등단 5년차인데도 아직 책 한 권 내지 못한 무명이었다. 서로의 작품에 대해 할 말이 딱히 없었다. 말을 심하게 더듬는 사람처럼 우리는.. 글 마당/책마을 산책 2009.02.16
작가가 뽑은 작가의 책 ④ 김원우 → 이문환 『플라스틱 아일랜드』 돈과 섹스는 자본주의의 활력을 부추기고, 그 번영을 떠받치는 구심점이다. 따라서 그것의 물신화 경향과 그것들끼리의 호화찬란한 호환구조는 더러 훌륭한 소설의 중심 테마로 떠오르기에 족하다. 그러나 대다수의 독자들은 그 만능의 두 요물을 해석, 활용, 체험하는 현장 실습에 관한 한 작가들보.. 글 마당/책마을 산책 2009.02.16
작가가 뽑은 작가의 책 ③ 김연수→김원우 『모서리에서의 인생 독법』 선생의 신간 소설을 읽는 일은 내 은밀한 즐거움 중의 하나다. 은밀하다는 말에 불순한 속셈 같은 건 하나도 없다. 다만 많은 사람이 선생의 소설을 읽는 즐거움을 모르고 살기 때문에 이 즐거움이 은밀해졌다는 소리다. 나는 매번 소설을 쓸 때마다 힘들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사람이다. 이렇게 .. 글 마당/책마을 산책 2009.02.16
작가가 뽑은 작가의 책 ② 박완서 → 김연수의 『밤은 노래한다』 김연수씨의 『밤은 노래한다』가 1930년대의 동만주를 배경으로 씌어진 소설이라는 걸 알고 처음엔 좀 당혹스러웠다. 마치 내가 맡아놓은 자리를 빼앗긴 것처럼 섭섭하고 억울한 느낌까지 들었다. 누가 시키거나 권한 것도 아닌데 그쪽 이야기는 꼭 내가 써야 할 것 같은 의무감을 오랫동안 품어왔기 .. 글 마당/책마을 산책 2009.02.16
작가가 뽑은 작가의 책 ① 박완서의『친절한 복희씨』 나는 박완서 선생의 새 책을 갖게 되면 일단 읽기 전에 그 책을 품에 꼭 안아본다. 뺨에 대고 부벼도 본다. 무조건 감사해서다. 그 연세에 그것도 수많은 독자들을 감동시키는 작품을 계속 쓰고 계시다는 것은, 매번 글을 쓸 때마다 무슨 커다란 장벽 앞에 선 듯해 아득해지는 나 같은 후배에게는 무조.. 글 마당/책마을 산책 2009.02.16
슬픈 시간의 기억(책말) '품위란 남이 알아주기 전에 스스로 챙겨야 한다' 통정으로 아랫도리 문을 열자 시도 때도 없이 가랑이 사이가 열불로 달아올랐다. 서른을 갓 넘겨 한창 물이 오른 나이인데 폐병걸린 서방의 잠자리 농사가 영 시원치 않자 가지밭과 오이밭만 보아도 금방 아래가 축축해져 절로 거기에 손이 갔던..... .. 글 마당/책마을 산책 2009.02.13
[김원일]슬픈 시간의 기억 제 목 : 슬픈 시간의 기억 저 자 : 김원일 출판사 : 문학과 지성사 읽은날 : 2009. 2. 4 - 9일 줄거리 예순이 넘은 나라 공신이 은퇴하면 임금이 그를 기로소에 들게 하여 책을 읽으며 남은 생을 한가롭게 보내게 했다는데서 유래한 '한맥기로원'이라는 사설 양로원에서 죽음을 맞는 네명의 노인.. 글 마당/책마을 산책 2009.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