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창고/인자요산 지자요수

삼악산(춘천)2

나무소리 2005. 7. 18. 13:36

5. 나도 신선이 될 수 있었는데......


가쁜 숨을 내 쉬며 급한 경사를 오르느라

주위를 둘러볼 여유가 없는 산내음 식구들과

눈을 맞추려 [둥굴레] [삽초]가 몸을 흔들어 본다.


20여분의 잰 걸음으로 오르막을 오르고

키 큰 신갈나무와 참나무 숲을 빠져나오자

회장님이 전망 좋은 바위를 차지하고는

카메라를 들고 대기하고 있다.


커다란 산에 몸을 기대로

배꼽 아래는 북한강 물줄기에 몸을 넣은 채,

한 장의 사진으로 추억 한 조각을 만들어 본다.

(사진 3747번)


그 동안 서먹했던 [산길따라][들국화]님 내외,

[빛그림][딸딸모][리아]님과 함께 하는 산행.

그 속에서 서로의 삶을 이야기 하는 가운데

산행만큼이나 쏠쏠하게 재미를 느낀다.


‘다들 나처럼 살고, 다들 그렇게 사는구나~~’

 

등선봉에 올라 좌우로 돌아보니

큰 산은 작은 산을 업신여기지 않고,

작은 산도 큰 산을 부러워하지 않으며,

적당한 간격으로 비켜서 서로에게 힘이 되어 준다.


‘사람과 자연은 저래서 다르구나’


하늘을 이불로 덮고, 땅을 자리 깔고 누워

먼데 보이는 산을 베개로 삼아,

한 숨 푹 자고 일어나면 신선이 될 것 같은데......

 

갑자기 신대장님의 하모니카를 한곡 불라는 명이 있어

몇 곡을  불다 보니 신선이 되는 걸 까먹었구나.....


“신대장님~!! 나 신선이 못된 거 책임 져유~~~“


‘산이 참 깊은 곳이구나

저렇게 산이 깊으니 물이 많지....‘


옛날 강원도에서는 아들 셋을 낳아야

자식하고 살수가 있었다는 말이 있다는데....


자식 셋을 낳으면

그 중  하나는 호랑이가  물어가고,

또, 하나는 절에 들어가 중이 되고,

그 나머지 하나가 겨우 남아 부모를 봉양한다나.

 

이렇게 산이 많고, 깊으니 호랑이가 있었을 테고,

좋은 산을 보며,  마음에 도를 닦지 않을 수 없는데다 절이 많으니

그 중 하나는 중이 될 수 밖에......

 

헌데 요즘 같은 세상에도 셋중 하나가 남을까??

 

6.  귀촉도 불여귀......


한참을 둔전거리며 내려오다 보니

세속화 되어가는 요즘의 절과는 사뭇 다른

검소한 모습에 고향집 정취를 주는 흥국사가 있다.


경내에 들어서니 라일락 향기가 얼마나 좋은 지

저 향기를 한 움큼 집어갔으면 좋으련만......

 

정상을 앞에 두고,

[떠돌이] 형님과 합류하는 지점에

둥지를 틀기 위함인지, 벌레를 잡아먹기 위함인지,

딱딱구리 종류의 새가 나무에 구멍을 파 놓은 것이 보인다.


그 옆에는 조금은 쓸쓸해 보이는 진달래가

마지막 꽃잎을 떨구는 아쉬움에 떨고 있다.


누구의 시인지 기억나질 않지만

문득 떠오르는 싯귀

“두견새야 너는 왜 그리 박정하여

지는 꽃만 슬퍼하고, 낙엽에는 안 우느냐“

 

[떠돌이] 형님께서 이 말에 부언을 하신다.


소쩍새나 귀촉새, 두견새나 다 같은 것인데

그 울음소리가 촉나라로 돌아갈 수 없음을 한탄하는

소리를 목 놓아 부르짖는 것으로

“귀촉도 불여귀(歸蜀道 不如歸)”라고 하신다.

 

보통 "소쩍~ 소쩍~! "하고 우는 것 같더니

그 말씀을 듣고 다시한번 생각해보니

정말 "귀촉도 불여귀"라고 하는 것 같기도 하다.


그럼 소쩍새는 “유비”의 나라를 그리워하는

새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

유비의 삼형제가 도원결의를 맺은 때인

복숭아 꽃이 필 때 우는 것은 아닌지......

(인터넷을 찾아보니 그런건 아니네요..)


어떤 책에선가는

두견새가 밤새 님을 그리며 울다가

피를 토해 낸 것이 참꽃이 되었고

그러기에 참꽃이 있는 곳에 소쩍새가 있다고도 하는데......

'사진창고 > 인자요산 지자요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암.황매산 1  (0) 2005.07.18
삼악산(춘천)3  (0) 2005.07.18
삼악산 1(춘천)  (0) 2005.07.18
제비봉  (0) 2005.07.18
팔영산....  (0) 2005.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