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독 도 법] 산행을 자주 하시는 분은 오지 산행도 즐겨보시는 것도 좋을듯 합니다. 7.1 등산과 지도 "등산은 길이 없는 곳에서 시작한다"는 말이 있다. 다시 말해 사람들이 많이 다녔던 산길만 찾아다니면 진정한 등산의 세계를 느낄 수 없다는 뜻이다. 길이 없는 곳을 산행하기 위해서는 지도와 나침반을 볼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런 능력이 없다면 이미 가 본적이 있는 곳만 찾아.. 뒤죽박죽 지식마당/산에 대한 상식 2006.12.13
산줄기의 구분 산줄기의 구분 산줄기 구분의 기본 원칙 '산은 물을 가르는 경계(山自分水嶺)'라는 단순한 지형적 원리에 의해서만 산줄기를 잇는다. 산의 형성과정이나 지질특성 등의 지질학적 요소나, 생활권 등 인문지리적 요소는 일체 배제한다. 산줄기의 분류 기준은 그 산줄기가 구획하는 물줄기의 세력에 따른.. 뒤죽박죽 지식마당/산에 대한 상식 2006.08.14
[스크랩] 생활정보 상식 * 핸드크림에 설탕 섞으면 효과 최고 !! 정말 간단하게 손의 피부를 지킬수있는 방법 하나, 핸드크림과 함께 설탕을 준비하세요. 핸드크림을 한번 쓸 분량만큼 짜고 거기에 설탕 반 스푼을 뿌려서 섞으세요. 설탕과 크림을 골고루 섞은후 전체에 부드럽게 발라주면되요. 몰라보게 손이 고와진답니다. * .. 뒤죽박죽 지식마당/뒤죽박죽 지식쎈타 2006.02.20
[스크랩] 인연(징글징글한 인연) 인연이라는 것이 무엇일까?? 참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영화 "번지 점프를 하다"에서 나오는 동영상이 어쩌면 가장 잘 설명했을지도 몰라 올려본다. 지금 내 앞에 있는 당신이 내게 가장 소중한 것은 어쩌면 그 인연때문이 아닌지? 인우 : 이게 뭐냐?? 학생 : 낙서요~~ 인우 : 지구다!! 이 지구상 어느 한 .. 뒤죽박죽 지식마당/뒤죽박죽 지식쎈타 2006.02.03
족가지마(족가고인내) ○ 足家之馬 (족가지마) - 분수에 지나친 행동을 경계하라 중국 진나라시대에, 어느 마을에서는 사람의 성(姓)씨는 신체의 일부를 따르는 전통이 있었다. 대대로 귀가 큰 집안은 이(耳)씨, 화술에 능통한 사람을 많이 배출한 집안은 구(口)씨 하는 식인데 수(手)씨 성을 가진 가문으로 대대로 손재주가 .. 뒤죽박죽 지식마당/뒤죽박죽 지식쎈타 2006.01.16
어쭈구리?? - 어주구리 ○ 漁走九里 (어주구리) 중국 한나라 때 어느 연못에 예쁜 잉어가 한 마리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어디서 들어 왔는지 그 연못에 큰 메기 한마리가 침입하게 됐는데 그 메기는 그 예쁜 잉어를 보자마자 잡아먹으려고 했다. 굶주린 메기를 피하기에는 작은 연못에서 역부족이었고 연못에서 피하다 못한 .. 뒤죽박죽 지식마당/뒤죽박죽 지식쎈타 2006.01.11
조까지마?? - 족가지마 ○ 足家之馬 (족가지마) - 분수에 지나친 행동을 경계하라 중국 진나라시대에, 어느 마을에서는 사람의 성(姓)씨는 신체의 일부를 따르는 전통이 있었다. 대대로 귀가 큰 집안은 이(耳)씨, 화술에 능통한 사람을 많이 배출한 집안은 구(口)씨 하는 식인데 수(手)씨 성을 가진 가문으로 대대로 손재주가 .. 뒤죽박죽 지식마당/뒤죽박죽 지식쎈타 2006.01.11
좇만한새끼?? - 조온마난색기 ○ 趙溫馬亂色氣 (조온마난색기)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조씨성을 가진 사람이 살고 있었다. 조씨에게는 만삭인 부인이 있었는데, 어느 날 아침 부인이 말하길 “여보! 어젯밤 꿈에 말 한 마리가 온천으로 들어가 목욕을 하는 꿈을 꾸었는데 아마도 우리가 말처럼 활달하고 기운 센 아들을 얻게 될 태몽.. 뒤죽박죽 지식마당/뒤죽박죽 지식쎈타 2006.01.11
씨발로마? - 시벌로마 ○ 施罰勞馬 (시벌로마) 중국 당나라 때 한 나그네가 어느 더운 여름날 길을 가다 이상한 장면을 목격했다. 한 농부가 밭에서 허벌나게 일하는 말의 뒤에 서서 자꾸만 가혹하게 채찍질을 가하는 광경을 본 것이다. 계속 지켜보던 나그네는 말에게 안쓰러운 마음이 들어 농부에게 “열심히 일하는 말에.. 뒤죽박죽 지식마당/뒤죽박죽 지식쎈타 2006.01.11
씨발놈에새끼? - 시발노무새기 ○ 始發奴無色旗 (시발노무색기) 옛날부터 중국 고사에는 삼황오제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 중 복희씨는 주역의 만들었을 뿐 아니라, 길흉화복을 점치는 법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이 이야기는 그 복희씨 시대의 이야기이다. 복희씨가 중국을 다스리고 있던 어느 날, 태백산의 한 산마.. 뒤죽박죽 지식마당/뒤죽박죽 지식쎈타 2006.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