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드물다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라는 나무
-안도현-
일생 동안 나무가 나무인 것은 무엇보다도 그늘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해본 적이 있다
하늘의 햇빛과 땅의 어둠을 반반씩,
많지도 적지도 않게 섞어서
자기가 살아온 꼭 그 만큼만 그늘을 만드는
저 나무가 나무인 것은
그늘이라는 것을 그저 아래로 드리우기만 할 뿐
그 그늘 속에 누군가 사랑하며 떨며 울며
해찰하며 놀다가도록 내버려둘 뿐
스스로 그늘 속에서 키스를 하거나 헛기침을 하거나
눈물을 닦거나 성화를 내지 않는다는 점이 참으로
대단 하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말과 침묵 사이, 혹은
소란과 고요 사이
나무는 저렇게
그냥 서 있다
아무것도 가지지 않은 듯 보이는
저 갈매나무가 엄동설한에도 저렇게 엄하기만 하고
가진 것 없는 아버지처럼 서 있는 이유도
그늘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제 빈한한 집안의 지붕 끝처럼 서 있는
저 나무를 아버지, 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때로는 그늘의 평수가 좁아서
때로는 그늘의 두께가 얇아서
때로는 그늘의 무게가 턱없이 가벼워서
저물녘이면 어깨부터 캄캄하게 어두워지던 아버지를
나무, 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눈 내려 세상이 적막해진다 해서 나무가
그늘을 만들지 않는 것은 아니다
쓰러지지 않는, 어떻게든 기립 자세로 눈을 맞으려는
저 나무가
어느 아침에는 제일 먼저 몸 흔들어 훌훌 눈을 털고
땅 위에 태연히 일획을 긋는 것을 보게 되는 날이 있을 터
'글 마당 > 시인의 마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선희] 열무김치가 슬프다. (0) | 2008.08.21 |
---|---|
[오세영]바닷가에서 (0) | 2008.08.07 |
[공광규]얼굴 반찬 (0) | 2008.05.09 |
[윌리엄 헨리 데이비스] 가던 길 멈춰 서서 (0) | 2008.05.08 |
[서정홍]그리움 다 남겨두고 (0) | 2008.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