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아래에 있는 글을 읽었습니다.
이 글을 통해 가슴 뭉클한 감동과 함께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됐지요.
함께 생각을 하고 공감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미국의 한 중환자 병동에 아주 심한 화상을 입고
생사의 기로를 헤매는 십대 초반의 어린 소년이 있었다.
그런데, 그날따라 처음 자원 봉사를 나온 대학생 한 명이
멋모르고 중환자 병동에 들어와서 (원래 자원 봉사자들은
중환자 병동에는 들어오지 않도록 되어 있었다)
이 소년의 기록을 보고 나이를 확인한 다음,
중학교 2학년 과정에 해당되는 영어 문법의 동사 변화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물론, 소년이 알아듣는지 못 알아듣는지를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이 순진한 대학생 자원봉사자는 며칠 동안을 열심히 가르쳤다.
그런데, 놀라운 일은
의사들이 회복 가능성이 아주 희박하다고 판정을 내렸던 이 소년의 상태가
기적같이 나아지기 시작한 것이다.
한 주, 두 주가 지나면서 완전히 고비를 넘기고 정상으로 돌아오고 있음에
모두가 놀랐는데, 다들 이 소년의 회복 원인에 대해 궁금해 했다.
얼굴의 붕대를 풀던 날 소년에게 그 원인이 뭐냐고 물었다.
소년의 대답이 걸작이었다.
"사실은 저도 가망이 없다고 스스로 포기하고 있었는데,
한 대학생 형이 들어와서 다음 학기 영어 시간에 배울
동사 변화를 가르쳐 주기 시작해서 놀랐습니다.
그 형은 ‘네가 나아서 학교에 돌아가면 이것들을 알아 둬야
공부에 뒤떨어지지 않을 거야‘ 라고 하더군요.
그때 저는 확신했죠.
‘아, 의사 선생님들이 내가 나을 수 있다고 판단했나 보다.
그렇지 않고서야, 이렇게 붕대를 칭칭 감고 있는 나에게
다음 학기 동사 변화를 가르쳐 줄 리가 없지.‘
그때부터 마음이 기쁘고 소망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 한홍의《 거인들의 발자국 》중에서 -
* <리더스 다이제스트>에도 소개된 실화(實話)입니다.
전 사람이 살아가는 이유 중 하나는 희망이라고 생각합니다.
'내일은 오늘보다 괴로울 것이고, 모래는 내일보다 더 비참할 것이다.'
생각한다면 이것은 바로 죽음이 아닐까요?
희망은 그럼 어디서 생겨날까요?
난 사랑과 관심 속에서 싹트지 않나 생각됩니다.
희망이 없는 사랑이나 헌신, 또한 봉사는 동정이며, 허상에 불과하지 않나 싶습니다.
내겐 희망이 있습니다.
'내일은 꼭 환하게 웃을 거야' 라는......
'뒤죽박죽 지식마당 > 뒤죽박죽 지식쎈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漁父辭(어보사) - 굴원 (0) | 2009.06.09 |
---|---|
척추체 MRI 소견내용들... (0) | 2009.04.29 |
지적도. 등기부등본 열람하기..... (0) | 2009.03.23 |
아랫 뱃살 빼기(빨대이용) (0) | 2009.02.25 |
개인적인 공연료에 대한 의견 (0) | 2009.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