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죽박죽 지식마당/뒤죽박죽 지식쎈타

정해진 답은 없다

나무소리 2008. 8. 25. 13:42

               정해진 답은 없다.


덴마크 코펜하겐의 한 대학에서 물리학과 교수와 학생이 실랑이를 벌였다.


기압계로 고층 건물의 높이를 재는 방법을 묻는 시험 문제에 학생이

"건물 옥상에 올라가서 기압계에 줄을 매달아 아래로 늘어 뜨려 길이를 재면 된다."

고 대답한 것이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교수의 출제 의도는 기압이 높이에 따라 달라지므로

기압차를 이용해 건물 높이를 계산해 보라는 것이었기에 답으로 인정할 수 없었다.

중재를 맡은 다른 교수가 학생에게 6분의 시간을 다시 줄 테니

물리학 지식을 이용한 답을 써 보라고 말했다.


그러자 학생은 건물 옥상에 올라가 기압계를 아래로 떨어뜨려 낙하 시간을 잰 뒤

'건물높이=`1/2(중력가속도*낙하 시간의 제곱)의 공식에 따라 높이를 구하는 답안을 작성했다.


교수는 이 답안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그러면서 " 또 다른  방법이 있는가?" 라고 물었다.


학생은

"옥상에서 바닥까지 닿는 긴 줄에 기압계를 매달아 시계추처럼 움직이게 한 뒤

그 진동의 주기를 측정하면 건물 높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라는 대답 외에도

다섯 가지 답을 제시해 교수를 놀라게 했다.


그 학생은 바로 1922년 새로운 원자 모델을 만들어 양자역학의 성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공로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닐스 보어'이다.


획일화된 답을 거부했던 그가 당시 생각해 낸 답 중에 스스로 가장 만족한 것은

"기압계를 건물 관리인에게 선물로 주고 설계도를 얻는다." 였다.

훗날 그가 과학계에 남긴 위대한 업적은 이와 같은 창의적인 사고의 산물이었다.

 

- 좋은생각 2008년 8월호 99쪽 -